Lena 3
이번에는 Nag창을 없애면 register할 수 있다고 한다.

처음에 GetModuleHandleA로 핸들을 받고 0과 비교해서 맞다면 분기가 나눠진다.
https://learn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in32/api/libloaderapi/nf-libloaderapi-getmodulehandlea
에 따르면, 매개변수가 Null일 경우에는 이 함수를 부른 파일의 핸들을 반환한다고 한다. 따라서

EAX가 0이어야 첫번째 Nag창을 건너뛸 수 있으나, EAX엔 언제나 00400000이 저장된다.
따라서 그냥 점프하는 부분을 바꿔주겠다.

두번째 Nag창은 아예 띄우는 부분을 없애버리겠다.

다른 풀이:
처음 Nag창을 없앨 때 조건문 점프를 망가뜨릴 수도 있으나,
시작지점을 바꿔 저 코드들이 아예 실행 안되게 해보겠다.
메모리 맵의 PE 헤더 부분을 들어가면 시그니쳐인 MZ와 더불어 여러 PE파일 정보들이 적혀있다.


Lena 3 oops!
Lena 3와 똑같은 파일인 줄 알았으나, ollydbg로 열때 hex창이 정상적으로 뜨지 않는다.


따라서 다른 부분을 수정하면 괜찮아진다.

728x90
반응형
'리버싱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버싱 입문](19)[Lena 6] (0) | 2025.03.13 |
---|---|
[리버싱 입문](18)[Lena 4] (0) | 2025.03.12 |
[리버싱 입문](16)[Lena 2] (0) | 2025.03.10 |
[리버싱 입문](15)[Lena 1] (0) | 2025.03.07 |
[리버싱 입문](14)[abex crackme 12, 13] (0) | 2025.0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