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버냄 암호: 일회용 키를 이용한 암호
알파벳에 숫자를 할당한다. (A = 0, B = 1...)
각 메세지를 전송할 때마다 메세지 길이와 같은 키를 정한다.
암호화: 메세지 + 키
복호화: 암호문 - 키
키의 일부분이 노출되어도 노출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알기 힘들다.
제약- 각 메세지마다 키가 바뀌기 때문에 키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것이 중요함
- 키 길이 문제: 메세지와 동일한 길이여야 하므로, 메세지가 길어지면 키도 길어져 전송 비용이 커질 수 있음
암호학에 관한 원칙
- 케르크호프의 원칙: 암호 알고리즘은 키를 제외한 모든 것이 공개되어도 안전해야 한다.
모든 비밀 유지는 잠재적인 실패 지점을 만들 수 있어 불안정하다. 따라서 유연하게 개방성을 띄어야 함. - 수학에 의존: 암호 알고리즘 대부분은 수학 계산적 어려움에 의존한다.
예) RSA는 큰 수의 인수분해의 어려움을 이용한 암호 - 실제는 이론보다 덜 안전함: 알고리즘 이론을 실제로 구현할 때 구멍이 나는 지점이 존재할 수 있다.
예) 버냄 암호도 제한된 상황에선 완전 비밀성을 보장하나... 실제론 그렇진 않다.
섀넌의 완전 비밀성
암호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충족할 때 완전 비밀성을 가진다 말한다
P(M = m | C = c) = P(M = m)이다. (M은 메세지, C는 암호의 분포) 즉,
- 적이 무한한 연산 능력을 갖고 있어도 깰 수 없다.
- 암호문을 분석하더라도 메세지나 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.
예) P(M = "HI" | C = "AB") = P(M = "HI")는 암호문 AB를 보고도 HI라고 메세지를 추측할 확률이 같다는 것이다.
728x90
반응형
'암호학 > 암호학 둘러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암호학 둘러보기](6)[AES] (3) | 2025.01.22 |
---|---|
[암호학 둘러보기](5)[DES 3] (0) | 2025.01.21 |
[암호학 둘러보기](4)[DES 2] (1) | 2025.01.20 |
[암호학 둘러보기](3)[DES 1] (7) | 2025.01.14 |
[암호학 둘러보기](1)[과거의 암호 1] (2) | 2025.01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