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시저
- 제어권 전달
프로시저 코드의 시작
리턴 지점으로 돌아가기 - 데이터 전달
매개변수, 리턴 값 등 - 메모리 관리
프로시저 실행 중 할당
리턴할 때 저장소(스택) 반납
스택
- 먼저 들어간 것이 나중에 나오는 메모리 구조
- 스택은 메모리 주소가 작은 방향으로 성장한다
- %rsp 레지스터는 스택의 top주소를 저장한다 (가장 최근에 저장된 값의 주소 저장됨)
- PUSH S: 스택에 S를 저장한다
%rsp = %rsp-8
S -> (%rsp) - POP D: 스택에서 하나를 빼서 D에 저장한다. (제일 나중에 들어온 것을 D에 저장)
(%rsp) -> D
%rsp = %rsp+8
프로시저 CALL
스택에 리턴 주소(호출된 장소) push
호출받은 함수로 jump
프로시저 ret
스택에서 리턴 주소를 pop
pop한 주소로 jump
728x90
반응형
'CS > 컴퓨터 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 구조](16)[어셈블리어 7] (0) | 2025.01.28 |
---|---|
[컴퓨터 구조](15)[어셈블리어 6] (0) | 2025.01.27 |
[컴퓨터 구조](13)[어셈블리어 4] (0) | 2025.01.23 |
[컴퓨터 구조](12)[어셈블리어 3] (0) | 2025.01.22 |
[컴퓨터 구조](11)[어셈블리어 2] (0) | 2025.01.21 |